로타바이러스는 영유아에게 쉽게 퍼질 수 있고, 감염되면 심한 설사, 구토, 발열 등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예방접종으로 감염을 예방, 입원을 90% 이상 보호 하고, 완전접종(필요한 접종 횟수 완료) 시 로타바이러스 발생률 3배 감소합니다.

로타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위장관염의 증상과 치료, 예방
로타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위장관염 증상
약 2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구토, 설사,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5세까지 대부분의 소아는 로타바이러스에 감염되며, 심한 증상은 주로 4~36개월 연령의 영유아에게 일어납니다. 신생아는 태반을 통해 전달된 항체가 심한 증상 발생을 예방하여 이 시기에 감염되면 대부분 증상이 없거나 경미합니다.
로타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위장관염 치료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은 특별한 치료법이 없으며 설사나 구토, 발열로 인한 탈수 및 전해질의 불균형이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수액보충이나 전해질 불균형을 교정하는 등 환자의 상태에 따라 대증요법으로 치료합니다.
로타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위장관염 예방
로타바이러스 감염증은 예방접종을 통해 로타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위장관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접종은 전 세계 114개국에서 시행하고 있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 24개국에서 이미 국가접종으로 시행 중인 만큼 효과와 안전이 입증되었습니다.
로타바이러스 백신 무료 예방접종
예방접종: 2023년 3월 6일부터
지원대상: 생후 2~6개월 영유아
지원백신: 로타텍, 로타릭스
국내에서 사용이 허가된 입으로 먹이는 방식의 두 종류 백신 중 선택이 가능합니다
5가 백신(로타텍) : 생후 2, 4, 6개월에 3회 접종
1가 백신(로타릭스) : 생후 2, 4개월에 2회 접종
로타바이러스 백신은 생후 15주가 지나기 전까지 1차 접종을 시작하고 최대 생후 8개월까지 접종을 완료합니다.
로타바이러스 백신 예방접종 시 자유롭게 선택이 가능하나 1차 접종 이후에는 동일 제조사의 백신으로만 모든 차수를 완료해야 합니다. 접종일정은 의사와 상담 후 접종 하시기 바랍니다.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접종 후 발열, 보챔(복통), 설사, 구토, 혈변 등이 있을 수 있으나 대부분 경미하며, 매우 드물게 장겹침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접종기관: 주소지와 상관없이 전국의 지정의료기관 및 보건소
로타바이러스 백신 종류별 지정의료기관을 확인 후 지정의료기관에서 접종 시 비용지원
https://nip.kdca.go.kr/irhp/mngm/goVcntMngm.do?menuLv=3&menuCd=331
예방접종도우미
어르신 폐렴구균 사업 지정의료기관 백신잔량 안내 백신잔량 안내 - 병의원명, 잔량 병의원명 잔량 백신 잔량은 지정의료기관에서 실제 보유량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안전한 예방접종 실시
nip.kdca.go.kr
로타바이러스 백신 자주 묻는 질문
1. 투여 연령이 지난 경우에도 투여할 수 있나요?
투여권고 대상은 아닙니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장중첩증의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2. 미숙아도 투여할 수 있나요?
미숙아에게도 투여할 수 있습니다. 미숙아의 경우 출생 예정일이 아닌 출생일을 기준으로 투여 날짜를 결정합니다.
3. 투여를 완료하기 전에 장염에 걸린 경우에도 일정대로 투여를 완료해야 하나요?
로타바이러스에는 다양한 혈청형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로타바이러스로 인한 장염을 앓았어도 부분적인 면역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일정대로 투여를 완료해야 합니다.
4. 투여 후에는 아이가 설사를 하지 않나요?
로타바이러스로 인한 위장관염을 예방합니다만, 모든 아이에게 완전한 예방효과를 보이지 않으므로, 설사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으니 증상이 심할 경우 빠르게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5. 백신을 토하거나 뱉은 경우 어떻게 하나요?
권장량을 투여하지 못한 경우 다시 투여하지 않을 것을 권장합니다. 백신 투여일정에 따라 남은 횟수를 완료하도록 합니다.
6. 두 종류의 로타바이러스 백신이 있는데, 한 회사 제품으로 일정을 완료해야 하나요?
그렇습니다. 접종수첩 등에 접종한 제품의 이름을 기록해 두세요.
7. 다른 백신과 같이 투여해도 되나요?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백신(DTaP),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백신(Hib), B형 간염 백신(HBV), 폐렴구균 단백결합 백신(PCV), 불활성화 폴리오 백신(IPV) 등과 같이 투여할 수 있습니다.
8. 투여 전과 후 아이에게 수유를 해도 백신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나요?
백신 투여 전과 후 영아에게 식이(수유)를 제한할 필요는 없습니다. 수유 전 또는 후 바로 백신을 투여하더라도 백신의 효과는 감소하지 않습니다.
9. 투여 후 주의해야 할 사항이 있나요?
투여 후 10일간 접종자의 분변을 통해 보호자가 로타바이러스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감염 시 증상이 나타나지는 않지만, 보호자는 기저귀를 갈아줄 때 꼭 손을 씻고 위생에 주의합니다
댓글